목차
휴대전화에는 "개발자 옵션" 이라는 약간(?) 숨겨진 기능이 있다.
실제 모바일 개발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
공장초기화 시 "OEM 잠금 해제" 등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.
https://happydays001.tistory.com/4
FRP(Factory Reset Protection)를 피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(갤럭시 공장초기화 시 구글락 방지)
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휴대폰 설정을 통한 초기화가 아닌 리커버리모드를 이용한 공장초기화를 진행할 경우 구글락이 발생한다. 이렇게되면 기존 구글계정으로 락해제 및 인증을 하지 않으면
happydays001.tistory.com
반응형
1.개발자 옵션 설정(활성화)
설정 > 휴대전화 정보 > 소프트웨어 정보 > "빌드번호" 7회 터치 > 비밀번호 입력 > 개발자 옵션 활성화 확인
2.개발자 옵션 해제(비활성화)
개발자 옵션을 해제 할 때는
개발자 옵션 설정 화면 상단에 스위치로 끄고 빠져나오면
개발자 옵션 메뉴가 사라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개발자 옵션을 해제하고 뒤로가기 버튼으로 빠져나오면
개발자 옵션 메뉴가 안보인다.(개발자옵션 해제 완료)
반응형
'IT > 스마트폰(휴대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휴대폰 언어 변경 방법(언어설정 방법) (0) | 2023.05.02 |
---|---|
휴대폰 기기변경 시 카카오톡 과거 사진 옮기는 법(안드로이드, 카카오톡 전체 백업 및 복구) (5) | 2023.02.02 |
FRP(Factory Reset Protection)를 피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(갤럭시 공장초기화 시 구글락 방지) (0) | 2022.11.09 |
스마트폰(휴대폰) 갤럭시 S20 안전모드 설정 및 해제 for 전체 초기화 (0) | 2022.11.07 |
갤럭시 S10 5G 공장초기화(데이터 완전 삭제, 휴대폰 판매 전 필수) (0) | 2022.11.04 |